1. 라우터는 자신의 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라우팅 테이블이라고 함.
라우팅 테이블 보기: #show ip route
R1#show ip route
Codes: C - connected, S - static, I - IGRP, R - RIP, M - mobile, B - BGP
D - EIGRP, EX - EIGRP external, O - OSPF, IA - OSPF inter area
N1 - OSPF NSSA external type 1, N2 - OSPF NSSA external type 2
E1 - OSPF external type 1, E2 - OSPF external type 2, E - EGP
i - IS-IS, L1 - IS-IS level-1, L2 - IS-IS level-2, ia - IS-IS inter area
* - candidate default, U - per-user static route, o - ODR
P - periodic downloaded static route
Gateway of last resort is not set
C 1.0.0.0/8 is directly connected, FastEthernet0/0
=> 라우팅 테이블을 보면 192. 으로 시작하는 항목이 없다.
따라서 R1 라우터는 목적지가 192. 으로 설정된 편지(=packet)을 받으면 삭제(=폐기)한다.
2. 왜 라우팅 테이블에 해당 정보가 없는 것일까?
라우터는 기본적으로 케이블로 직접 연결된 정보만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에 적어둔다.
이에 관리자가 직접 해당 목적지에 대한 경로 정보를 입력해줘야 하며
이를 'Static Route' 라고 한다.
라우터의 4가지 모드
1. User Mode
- 라우터의 유저모드
- 간단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단계이다.
- 라우터의 설정을 할 수 없다.
- Router> enable
2. Privilege Mode
- 관리자 모드
- 유저모드에서 보다는 다 많은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긴 하지만
- 라우터의 설정을 할 수는 없다.
- Router# exit -> 유저모드로 되돌아 갈 수 있다.
- Router# configure terminal
(= conf t)
3. Global Configure Mode
- 라우터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모드
- 유저모드에서 곧바로 넘어올 수 없다.
(> -> # -> (config)#
4. Setup Mode
- 공장에서 만들어진 라우터를 처음 켜면
초기 설정을 할 것인지를 물어보는 모드
라우터에서 주소 설정(주소 입력, 활성화)
1. global configure mode로 이동
2. Router(config)# interface fa0/0 (=int f0/0)
Router(config-if)#ip address [입력할 주소][서브넷마스크]
=> ip address 192.168.1.254 255.255.255.0
3. Router(config-if)#no shutdown
※ 명령어의 반대개념은 명령어 앞에 'no'를 붙여 설정할 수 있다.
주소 삭제: no ip address
이름 삭제: no hostname [이름]
활성화(녹색불):no shutdown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블로그 Google Search Console 설정하기 (0) | 2023.02.09 |
---|---|
[네트워크] CCNA 네트워크 기초 공부 스태틱 루트 설정 04 (0) | 2023.02.01 |
[네트워크] CCNA 네트워크 기초 공부 클래스 class 및 서브넷 마스크 IP 주소 개념 정리 02 (0) | 2023.01.31 |
[일상] 스벅 신메뉴 스타벅스 NEW 블랙햅쌀라떼 미모사그린티 맛 후기 스타벅스 메뉴 추천 (1) | 2023.01.02 |
[payoneer] 페이오니아 가입 및 사용하기! -1 (2) | 2022.12.29 |